OFMY (Ony for me and you)

[학습 블로그] 컴퓨터 공학개론 – 장철원 강사님 본문

포트폴리오/커널 14기 AI 부트캠퍼

[학습 블로그] 컴퓨터 공학개론 – 장철원 강사님

선뭉 2025. 6. 27. 12:42

 컴퓨터 공학 개론을 배우며 깨달은 점과 기록

 

AI를 공부하면서 단순히 모델을 돌리고 코드를 작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컴퓨터 공학의 기초와 시스템의 본질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AWS EC2를 통해 리눅스 기반 서버를 구축하고,

컴퓨터의 구조와 리눅스 명령어를 배우면서 그 중요성을 다시 느꼈다.

 


 

1. 컴퓨터의 기본 구조

 

컴퓨터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입력 장치: 키보드, 마우스, 센서 등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
  • CPU (중앙처리장치): 컴퓨터의 두뇌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한다
  • RAM (메모리): 현재 실행 중인 데이터나 명령어를 임시 저장한다
  • 저장 장치: SSD, HDD와 같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장치
  • 출력 장치: 모니터, 프린터 등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CPU와 RAM은 특히 AI 개발에서 핵심이 되는 자원이다.

RAM은 데이터 연산과 모델 로딩, 학습 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다.

RAM이 부족하면 프로그램은 느려지거나 중단되며, CPU가 강력해도

메모리 병목으로 시스템 전체가 느려질 수 있다는 사실을 몸으로 느꼈다.

 


 

2.  AWS EC2 서버와 리눅스 명령어

 

AWS EC2로 리눅스 기반 서버를 직접 만들고 실습했다.

리눅스는 서버 관리와 AI 연구에 필수적인 운영체제였다.

리눅스 환경을 직접 다루면서 서버 동작의 내부를 볼 수 있었고,

단순히 코드 실행을 넘어서 서버 전체를 통제하는 감각을 익혔다.

 

주요 리눅스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명령어설명

ls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 보기
cd 디렉토리 이동
pwd 현재 경로 출력
mkdir 새 폴더 생성
rm 파일/폴더 삭제
touch 빈 파일 생성
cat 파일 내용 출력
chmod 파일/폴더 권한 변경
chown 파일/폴더 소유자 변경
top CPU, 메모리 사용량 실시간 모니터링
p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확인
kill 특정 프로세스 종료
scp 서버 간 파일 복사
ssh 원격 접속

이 명령어들을 직접 다루면서 서버 자원, 파일 권한, 프로세스 상태를

내 손으로 확인하고 조절하는 법을 배웠다.

 


 

💡 배우며 깨달은 점

 

1️⃣ CPU와 RAM이 컴퓨터의 핵심이었다.

CPU가 강력해도 RAM이 부족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걸 느꼈다.

RAM은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쓰는 공간으로, AI 개발에서 생명줄 같은 존재였다.

 

2️⃣ 개발자의 답답함은 안 보이는 곳에서 처리해야 하는 데서 나왔다.

코드 상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여도, 내부에서 리소스나 권한, I/O 병목 때문에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한다는 걸 경험했다.

 

3️⃣ 내가 이걸 왜 하고 있는지 항상 의문을 가져야 했다.

단순히 코드 한 줄 치기보다, 지금 내가 왜 이걸 작성하는지,

왜 이 방식으로 하는지 스스로 질문하며 공부해야 깊이가 생겼다.

 

4️⃣ No pain, No gain이었다.

AWS EC2를 처음 다루고 리눅스 명령어를 익히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직접 경험하며 배운 것은 절대 잊히지 않았고,

이런 과정이 진짜 내 것이 된다는 걸 알게 됐다.

 


 

✏️ 앞으로 더 공부하고 싶은 것

 

  • 리눅스 쉘 스크립트 작성법
  • 서버 보안 설정과 네트워크 관리
  • Docker, Kubernetes를 통한 컨테이너 기반 개발 환경 구축
  • 고성능 컴퓨팅(HPC)과 분산 처리

 

 

추가적으로 리눅스 도서와 강사님 도커/쿠버네티스 책도 구매했다 :> 얼른 배송 와라~~~

 

#패스트캠퍼스 #패스트캠퍼스AI부트캠프 #업스테이지패스트캠퍼스 #UpstageAILab #국비지원 #패스트캠퍼스업스테이지에이아이랩 #패스트캠퍼스업스테이지부트캠프